☞
이력
한국방송통신대학 초등교육과 초급과
학사
졸업(1회) 부산한글학회
이사(현
2012년) 훈민정음에
바탕을 둔 체계적인
한글깨침(배움)연구가 체계적인 한글 바르게 깨치기 실천 운동가
부산 초등교사(2013.02.28.정년퇴직)
손전화
010-2446-2505
☞
연구
1982~1984년
- 훈민정음 독해
1984년 한글
조직의 특성을 이용한 문자 해득의 실천 연구
1985년 한글
조직의 특성을 이용한 입문기 문자 해득의 실천 연구
2006.3.27.
한글학회 부산지회 '한글 익힘' 실천 연구 발표 (부산대)
2011.8.10.
한국 사이버대학교 초청 보물찾기
한글 인터뷰 강좌 2012.4.24.
부산한글학회 268차 발표회(부산교대)
이야기에
비유한 알기 쉬운 띄어쓰기
2012.9.25. 부산한글학회 271차 발표회(부산교대)
한글 바르게 익히기 과정과 지도 학습 방법
☞
저서
1.
다목적 글소리 샘('99.10.30 동아기획사) -글짓기 도서
2.
보물찾기 한글 1권 2권('07.10.9 동아기획) - 한글 익힘
교과서
및 지도서
3.
원고지 이음말 사용법('09.3.2 동아기획)
4.
보물찾기 한글 1권 2권('09.6.10 동아기획) - 한글익힘
교과서
및 지도서(개정판)
5.
보물찾기 한글 1권 2권('12.9.10 동아기획) - 한글익힘
교과서
및 지도서(완성판) 6. 세종규칙 한글 1권 2권('16..2.12 동아기획) -한글교육
교재 및 지도서(융합판)
☞
수상
2006.10.9. - 560돌 한글날에 한글학회 추천 한글운동
공로
부산시장 감사장 받음 2008.10.09.
- 562돌 한글날에 한글운동
공로 부산시 교육감 표창 2013.02.24.
- 녹조근정훈장
|
☞
'우리글 노래' 발표(한글의
생성 원리 담은) 1984.05.03.
부산일보(발표) 1984.05.03.
7시 25분 KBS 제1TV 부산뉴스(발표) 1984.05.11.
9시 30분 KBS 제1TV 중앙뉴스 1984.06.
- 한글학회지 한글 새소식 142호 1984.09.09.
7시 MBC TV 부산뉴스 1984.09.09.
17시 30분 MBC TV 중앙뉴스 1985.10.06.
KBS TV 출발 오륙도의 새 아침 1986.10.09.
MBC TV 파란 마음 하얀 마음 2001.03.07.
'우리말 우리글'에(도서출판 나라말) '우리글 노래' 게재 2001.11.01.
평생 리포트 월간 학연저널 11,12월호에 소개 2002.03.
- 우리글 노래, 중1-6 언어의 세계-교육부공동
학습자료 2004.03.
- 글동산 국어-현대시의 이해와 감상2 (문원각)
-
우리글
노래 게재 2012.10.09. 566돌 한글날 기념 식전행사로 '우리글 노래'
(행복의 메아리 합창단과 광명시립합창단) 합창함 ☞
'우리글 노래' 가(중고
교과서에 수록) 1. 2011년 3월에 고등 교과서 국어 상 108쪽에 수록(금성출판사) 2. 2013년 3월에 중 3-2 국어 교과서
94쪽에 수록(비상교육) 3. 2013년 3월에 중 3-2 국어 교과서
104쪽에 수록(창비교육)
☞
세종규칙 한글(보물찾기 한글) - 우리글 한글공부 1997.03.
- 알기 쉬운 띄어쓰기 개발(초등용) 2001.06.08.
한글새소식 제346호에 홈페이지 소개 (우리글 한글공부) 2005.10.08.
- 중앙일보 사회면에 '우리글 한글공부' 홈페이지 소개 2006.2월호
- 여성동아 '기초부터 다지는 한글교육' 소개 2007.10,9.
- 부산 MBC 9시 뉴스(보물찾기 한글) 2016.10.18 -우리말 살리는 겨레모임, 2016년 우리말 지킴이로
선정
☞
기타 1987.01.12.
KBS 제1TV 모여라 딩동댕 창작동요 '영그는 마음' 발표 2002.03.
- 3-2/셋째마당(읽기1단원)문단나누기 교육부공동학습자료 2016
우리말 으뜸 지킴이 다섯 선정('세종규칙 한글' 연구소 장덕진)
http://newsnavi.kr/archives/5386
|
♥장덕진 -
획기적인 신개념 한글 깨침 실천 연구 업적 소개 (초등1학년
1학기
1달
안에 겹받침까지 쉽고 간단명료하게 완전 터득하고 한글 해득 부진 100% 해소
→ 나아가 유치원, 다문화, 외국인 등 누구나)
①한글 생성 원리 담은 '우리글노래' 만듦 (1984년 5월) ②닿소리 홀소리 순서규칙과
특성을 쉽고 명확하게 정립 (2007년) ③소릿값, 닿소리, 홀소리의 쉽고 명확한
개념 정의 정립 (2007년) ④ 닿소리
발음 오류 (첫소리 소릿값 'ㅇ' 포함) 바로 잡음 (2016년) ⑤딱 1달이면 쉽고 간단명료하게 한글을 익힐 수 있는 규칙
5개 개발
(2020년) ⑥딱 1달이면 쉽고 간단명료하게 누구나 배울 수 있는 규칙 과학 '세종규칙
한글' 교재 개발 (2016~2020년) ⑦사람 사는 생활이야기로 쉽고
재밌게 규칙 하나를 배우면 100개를 깨칠 수 있는 방법 - 첫소리(+가운뎃소리)
소릿값 2가지
발음규칙과 닿소리 순서규칙과 닿•된소리
특성에 따른 끝소리
소릿값, 쌍받침, 홑받침, 겹받침
발음규칙 5개 훈민정음
이론 정립 (2020년)
⑧사람
사는 생활 이야기로 쉽고 재밌게 배우는 '알기
쉬운 띄어쓰기' 개발
(1997년) ◆훈민정음 규칙 과학 소릿값 발음규칙
중심 한글 깨침 '세종규칙 한글' 종이책과 수업용(프린트도 됨) 전자책
→
http://www.hangeulstud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