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책


규칙 과학 한글 배움을 방해하는 훈민정음 이론 5가지 오류


[동요나라][개발자소개][블로그][유튜브자료][PPTx웹자료][소논문][배움길][]

소논문 : 연구 개발 보고서          원본pdf받아보기  

훈민정음 하늘() 소리 규칙 : 누구나 쉽게 깨치는 한글 혁명
(똑똑한 세종규칙 한글 - 소릿값 규칙 발견 학습)

학습대상 : 5~6세용 (교사·학부모 지도서 겸용), 다문화, 어른, 외국인 누구나

규칙 과학 한글 배움을 방해하는 훈민정음(한국교육과정평가원) 이론 5가지 오류 풀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6.) 찬찬한글. 연구자료 ORM 2017-36-2 (교사용)을 중심으로 훈민정음 이론 5가지 오류를 찾아 분석하고 풀이해 봅니다.
(한글 배움과 훈민정음은 불편한 동거를 하고 있는 꼴이죠 =국가기관이 규칙 과학 한글 배움을 방해)
[유튜브]https://youtu.be/3gYDdLjWe0s

소릿값을 잘 드러나게 한다는 이유로 닿소리를 그느드~로 발음한다는 오류(=찬찬한글 35)
   이렇게 발음한다면 같은 닿소리라 하더라도 첫닿소리 소릿값은 19, 끝닿소리 소릿값은 7(받침277)개인데, 예를 들어 자는 =므오므, ‘자는 =므아르그로 발음해야 하는 또 다른 오류가 발생합니다. 닿소리는 반드시 홀소리와 결합하여 도움을 받아야 소릿값을 낼 수 있습니다. 이런 오류는 소릿값, 닿소리, 홀소리 개념()이 쉽고 명확하지 않고 어려워 이해하지 못해 발생한 오류입니다. 어린이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개념()을 명확하게 풀어 주어야 합니다. 아래 를 참고하십시오.
)받침까지 모든 글자에 , ~ 를 적용하면 발음이 정확하지 못해 혼란, 아르그
)(발음) , (발음×) , (발음)

첫소리 이응() 소릿값이 없다는 오류(=찬찬한글 60)
   훈민정음 해례본 2예의자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이렇게 첫소리 소릿값이 살아 있음을 분명히 밝혔습니다.홀소리는 이응이 없으나 있으나 소릿값이 같습니다. 그래서 없으면 소리이음도 할 수 있고, 닿소리와 결합하여 소리글자도 만들 수 있습니다. 이응이 있으면 소릿값 2가지 내기규칙을 찾아 정확하게 발음도 할 수 있습니다. 일거삼득, 세종의 지혜와 창의력입니다. 소리글자 이응()을 소리글자가 아닌 (0)에 비유할 수 없는데 비유하거나 훈민정음 해례본 종성해 聲淡而虛 차ㅇ성담이허이응()은 비어 있는 것처럼 맑으니라고 의역하고 해석해야 하는데, ‘이응()은 소리가 맑고 비었으니라고 직역하여 첫소리 이응() 소릿값이 없다고 하는 것은 오류입니다.
)홀소리는, ㅏㅑㅓㅕ~(이름) = 아야어여~(발음), 왜 이름과 발음이 똑같은지에 대한 혼란,
)훈민정음 해례에 ()’자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이렇게 세종은 첫소리 소릿값이 있음을 명확하게 밝혔는데도 불구하고
     , ’, ‘, 이렇게 소릿값을 살릴 수 없는 혼란,
) 국어에서 이 있는데 어떻게 구거로 소리이음(연음)될 수 있는가 혼란 을 쫓아내야 하나?

가획(획을 더해) 원리로 홀소리(모음)를 만든다는 오류(=찬찬한글 23)
   닿소리 만든 원리는 예를 들어 + () = 이 되는 가획원리이며,홀소리 만든 원리는 사람()+하늘(), ()+하늘()을 결합해서 ㅏㅑㅓㅕㅗㅛㅜㅠ를 만드는 결합원리입니다.
)+= (×), += () 둘 중 어느 것이 옳은가 혼란

하늘을 태양이라는 오류(=찬찬한글 10. 13~16)
   둥근 하늘 모양을 본떠 아래 (없어지고 지금은 하늘)를 만들었습니다. 그래서 홀소리는 사람()+태양(), ()+태양()을 결합해서 ㅏㅑㅓㅕㅗㅛㅜㅠ를 만들 수 없는 오류이며, ‘사람()+하늘(), ()+하늘()을 결합해서 ㅏㅑㅓㅕㅗㅛㅜㅠ를 만든다는 것이 바른 이론입니다.
) 기본 3글자(ㅡ ㅣ)로 나머지 홀소리 8(ㅏㅑㅓㅕㅗㅛㅜㅠ)를 만든 원리(방법) 혼란

자모음(닿소리,홀소리) 개념을 "자음은 아들 소리, 모음은 어머니 소리"라는 오류(=찬찬한글 12)
   개념()을 쉽고 명확하게 말하면, 소릿값은 소리와 값을 구분하여 소리는 소리요 알아들을 수 있다는 뜻으로, 소릿값은 낱자를 알아들을 수 있게 내는 소리를 말합니다. 소리는 홀소리에 아 도움을 받아야 알아들을 수 있게 내는 소리를 말합니다. 소리는 이름(기역)이 다릅니다.그래서 소리는 이름과 소리만 있고 알아들을 수 있게 내는 이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소리는 도움 없이 로도 알아들을 수 있게 내는 소리를 말합니다. 소리는 이 있으나 없으나 이름()과 소릿값()이 같습니다. 그래서 소리는 이름과 알아들을 수 있게 내는 이 같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자음(홀소리)은 아들 소리 ㄱㄴ~ 그런 거?, 모음(홀소리)은 어머니 소리 ㅏㅑㅓㅕ~ 그런 거?, 자모음(닿소리, 홀소리) 개념을 한글 배움에
     적용할 수 없는 혼란, 그래서 왜 +를 결합하면 가 되는지 이유도 모릅니다.
이름만 있고 알아들을 수 없는 소리는 알아들을 수 있는 소리 도움을 받아 알아들을 수 있게 소리 내려고 소리와 결합(결혼)하면 알아들을 수 있는 소리글자 가 되지요. 이렇게 이해하면 얼마나 쉽고 기억하기 좋으며 생각하는 힘이 좋아질까!

이와 같은 훈민정음 5가지 이론 오류 제거하고 혁신하면,

 예외도 없이 첫소리(+가운뎃소리) 소릿값 2가지 내기규칙이 겹받침까지 100% 적용

 일관성 있게 헷갈리지 않고, 규칙 하나 배우면 100 깨치게 됨

 닿소리 순서규칙과 특성이 끝소리 받침 소릿값 내기규칙에도 100% 적용(받침 27개를 간단히 7개로 만들 수 있음),

 쉽고 똑똑하여 외우거나 받아쓰기할 필요 없이 겹받침까지 사람 사는 이야기로 아주 재밌게 배울 수 있음

 소리와 가운뎃소리 소리를 하나하나 풀어보고 결합하여 소리글자를 창조적으로

    만들어 정확하게 발음하면서 생각하는 힘과 이해 능력을 키울 수 있음

 

이처럼 국가기관이 규칙 과학 한글 배움을 방해함으로써 한글을 훈민정음답게 배우지 못하고, 한글은 일본어 낱말식 통글자 빌리고, 한국어는 영어 문장식 빌려 주제별 문장을 제시해 놓고 문법으로 익히는 슬픈 현실입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오류를 범해도 국가기관 박사들이 개발한 것이니 오류인 줄도 모른 채 덩달아 시중 모든 한글 책도 오류를 범한 한글 책을 출판 판매하고 있습니다. ~~한글 한국어가 헷갈리고 어려울 수밖에~~

사고력과 성적까지 높인 초등 실천 사례  :

    40간의 실천 연구를 통해 개발된 학습법으로, 학력 향상 효과가 입증된 바 있습니다. 2009년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에게 소릿값 규칙 발견 학습을 적용한 결과, 학력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학기 학교 및 교육청 기말 평가에서 학교 평균 점수는 10.3, 교육청 평균 점수는 8.2점 상승했으며, 두 학기 평균은 9.25점 상승했습니다.
특히, 수학 평균 점수는 16.35점 상승하여 일반 평균의 두 배에 달하는 놀라운 결과를 보였습니다. 이는 학생들의 사고력과 이해력 향상이 학력 신장에 크게 기여했음을 입증하며, 한글 학습의 규칙 과학적 접근법의 효과를 잘 보여줍니다.
또한, 8개 반의 학년 평균보다 점수가 높은 학생이 30명 중 23(76.67%)에 달했으며, 이는 규칙 기반 한글 학습이 학생들의 학업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강력한 증거로 평가됩니다.
이 사례는 한글을 수학처럼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규칙 기반 하늘 소리 규칙(소릿값 규칙 발견)’ 학습 방식으로 지도하는 것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명확히 보여준다는 점에서 매우 가치 있는 자료입니다.

규칙 과학 소릿값 내기규칙 찾기 놀이로 한국어 바탕을 튼튼히 하면 규칙이 문법으로 전이 발전하여 한국어도 3배 이상 더 쉽고 빠르게 배울 수 있습니다.

규칙 과학 '똑똑한 세종규칙 한글' 책 소개와 온라인 서점   https://hangeulstudy.com/hwp3/sejem.htm

'똑똑한 세종규칙 한글' PPTx 멀티미디어 웹자로 (PC, 태블릿, 폰 연동) http://hangeulstudy.com/frame2.htm

배움 대상 5~6세용 교사·학부모 지도서 겸용 (다문화. 어른, 외국인 누구나)

참고 -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7).연구자료ORM2017-36-3찬찬한글(교사용)오류

https://drive.google.com/file/d/1ICbeqhqN14NuNqaazeHMlD-tXlZ2FoSM/preview

똑똑한 세종규칙 한글